메뉴 메뉴
닫기
검색
 

인터뷰

제 733 호 교수님이 들려주시는 ‘생활 속 화학이야기’, 강상욱 교수님을 소개합니다! ​

  • 작성일 2024-05-16
  • 좋아요 Like 0
  • 조회수 108
정소영

교수님이 들려주시는 ‘생활 속 화학이야기’, 강상욱 교수님을 소개합니다!


▲2023.3.30 KBS 생방송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에 출연한 교수님


  강상욱 교수님은 2010년 대한민국 최연소 남자 대학교수님으로서 임용되어, 서울캠퍼스 화학에너지공학전공 교수직을 역임하고 있다. 배터리, 기체분리막, 수처리분리막 등을 연구하며 꾸준히 다양한 연구 성과를 이루어내고 있다. 또한 방송매체 인터뷰나 다양한 강연을 통해 과학 지식을 알려주고 있다. 2020년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상 수상, 2022년 추계 한국화학공학회 심강논문상 수상 등 여러 수상 기록을 보유하고 계신다. 


== 

신개념 보조 배터리 개발 성공


  올해 3월 강상욱 교수 연구팀이 구멍이 많이 생겨도 기계적 강도가 더 증가하는 신개념 배터리 분리막 개발에 성공했다. 연구는 국제생물고분자학회지(International Journal of Biological Macromolecules – 피인용지수 8.2) 2024년 3월호에 발표됐다. 국제생물고분자학회지는 저널인용보고서(JCR) 분야별 상위 5.8% 안에 드는 저명한 저널로 평가받는다. 

  이번 연구는 기공이 형성됐음에도 불구하고 배터리 분리막의 기계적 강도가 약 81% 더 증가한다는 점으로 배터리 분리막 기술의 혁신적인 발전을 의미하며, 기존 배터리 기술에 적용할 경우 배터리의 폭발 가능성을 대폭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케미스토리>표지(출처:https://product.kyobobook.co.kr/book/preview/S000001946372

  교수님이 출간하신 저서 중 <케미스토리> 는 2021년 출간 되었으며 일상생활 속 잘못 알려진 화학 정보들을 소개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해 나가기 위해 필요한 화학 상식들을 소개한다. '미용실이나 네일아트숍에서 쉽게 맡을 수 있는 약품 냄새는 얼마나 해로울까?, 마스크에 포함된 형광증백제의 피부 독성은 어떨까?' 등 우리가 궁금했던 사실들을 쉽고 이해하기 쉽게 풀어낸 책이다. 이외에도 <예수님도 부처님도 기뻐하는 과학>, 초등학생을 위한 화학 책인 <방귀도 화학이라고?> 등이 있다. 


유튜브 채널 


  교수님은 2년전부터 ‘[화학채널]강상욱 교수의 위험한 초대’ 라는 유튜브 채널을 (https://youtube.com/@dangerous_invitation?si=41nzqRRa3mwqdjie) 꾸준히 운영하고 있다. 유튜브 영상에서는 다양한 일상생활의 화학 문제를 다룬다. 학보사 2022년 709호에서(https://www.smu.ac.kr/newspaper/social.do?mode=view&articleNo=731035#/list) 교수님의 인터뷰에 따르면, 개인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이유는 학교 홍보 차원, 부정확한 정보를 바로잡기 위해, 그리고 대화의 장을 만들기 위함이라고 한다. 


  최근 3월 27일 교수님이 올리신 영상 중 하나인 '폐수 먹고 자란 오징어! 건강을 위협한다고?' 편(https://youtu.be/mbGKs8As0L4?si=xbUFGaXlbRjjX-rq) 에서는 이 영상은 우리가 흔하게 먹는 국내 수산물에 인체에 해를 일으키는 독성물질인 고불화홥물이 매우 높게 검출되었다는 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이 독성물질은 인체에 쉽게 흡수되는 반면 배출 및 분해는 잘되지 않아 위험성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농산물, 축산물에 비해 오염된 폐수로 인한 수산물의 축척도가 가장 심각한 상황이며 이에 대한 위험성을 인지하고 노출을 줄여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외의 다른 동영상들도 전공자가 아니어도 누구나 이해하기 쉽고 재밌게 시청할 수 있다. 


강상욱 교수님 인터뷰


Q. 안녕하세요! 2022년에 이어 다시 한번 학보사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예전 인터뷰를 잘 모르는 학우들이나 신입생들에게 간략하게 소개 부탁드립니다. 


A. 안녕하세요. 화학에너지공학전공 강상욱 교수입니다. 2010년 상명대학교에 교수로 부임한 뒤, 화학에너지공학전공 교과목 외 교양과목으로도 학생들을 만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배터리 분리막'과 '미생물전지용 분리막'입니다.


Q. 최근에 교수님의 신개념 배터리 분리막 개발에 성공했다는 교수님의 기사가 보도되었는데요. 이 연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합니다.


A. 가끔 전기차가 충돌 후 화재가 났다는 기사들을 본 적이 있을 거예요. 전기차의 핵심부품이 배터리인데, 배터리는 크게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특히 '분리막'은 배터리의 안정성을 책임지는 소재인데, 양극재와 음극재가 닿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고 있어요. 기존 분리막 소재들은 열적 안정성이 낮거나 가격이 너무 비싸다는 단점이 있는데, 저희 연구팀에서 개발한 소재는 열적 안정성도 매우 높고, 가격도 매우 저렴한 소재일 뿐만 아니라, 기공이 형성됐음에도 불구하고 기계적 물성이 더 증가하는 신개념 분리막입니다. 일반적으로 기공이 형성되면 기계적 물성과 열적 안정도가 낮아지는데, 저희가 개발한 소재는 기계적 물성과 열적 안정도가 모두 우수한 소재입니다. 


Q. 개인 유튜브 채널을 운영 중이신데요. 다양한 주제에 자료 조사까지 쉽지 않은 활동을 꾸준히 하실 수 있는 원동력이 무엇인가요?


A. 제 유튜브 영상을 보시면 화면 상단에 '상명대학교'라는 마크가 항상 게시돼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전 국민을 상대로 '생활 속 과학지식 및 안전 지식'을 알리는 목적 외에 '학교 홍보 차원에서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학교 홍보' 차원의 일이라고 생각하면 딱히 힘들다는 생각은 들지 않고 있습니다. 일주일에 1~2건 정도의 '간접광고 제의'가 들어오고 있지만, '유튜브 운영 목적'이 금전적 이득을 얻기 위함이 아니기 때문에, '간접광고'는 전혀 받지 않고 있습니다.


Q. 교수님이 올리신 유튜브 영상을 시청하면 일상생활 속 광범위하게 퍼진 유해 물질을 줄이는 것이 사실상 가능한지 걱정이 됩니다. 교수님께서는 이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시는지, 그리고 좋은 비결이 있으면 소개해 주세요.


A. '주방용 칼'은 위험하지만, 조심히 사용하면 안전하고 유용하지요. 마찬가지로 모든 생활화학제품들은 기본적으로 유해성을 갖고 있지만, 제품별 사용 방법만 잘 숙지하면 모두 유용하고 안전하기 때문에, 저는 제 채널을 통해서 '정확한 사용방법'을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랍니다. 그뿐만 아니라, 식품의 경우도 '식품별 유해성'을 숙지하면 평소 섭취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니, 정확한 '유해성'을 알리려고 하는 것이랍니다. 저 역시 이런 내용들을 알기 때문에 평소 관련 생활화학제품을 다룰 때 주의를 한다던지. '식품'의 경우 '해당 식품의 과식'을 하지 않으려고 노력하면서 노출을 최소화하는 삶을 살고 있습니다:)


Q. 앞으로 개설하고 싶은 교과목이 있으신가요?


A. 현재 전공교과목 외에 '과학교양 2과목'을 운영하고 있는데, 나중에 나이가 더 들어 50대 중반이 되면 ' 철학 관련 교양 교과목'을 개설해 보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과학 분야에 종사하고 있지만 모든 학문의 근간에는 '철학'이 있으며, '철학의 이해'를 통해 '과학의 역사적 흐름'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Q.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마지막으로 학우들에게 한마디 부탁드립니다. 


A. 학창 시절에 최대한 많은 경험을 하면서 내외적으로 성숙해지는 기회를 많이 갖기를 바라고, 소중한 추억도 많이 만들어 가기를 바랍니다:)



신희원 정기자